자료실/자료실

한자의 약자와 속자

예전 이영란 2007. 12. 6. 11:25
퍼온글  글쓴이: 조창열 조회수 : 7105.05.17 13:47 http://cafe.daum.net/hanmungojun/C8cg/10주소 복사
 

 한자의 약자(略字)나 속자(俗字)에 대한 정의와 예시입니다.. 우리의 한자교육은 과거에서부터 정자(正字) 위주의 교육을 해오고 있기 때문에 특별히 약자를 강조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이나, 실용성의 목적으로는 어느 정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약자의 생성을 내용별로 분류했습니다..



1. 한자의 약자(略字)나 속자(俗子)에 대한 정의


  한자의 약자는 이미 중국 한나라 시대부터 연원을 찾을 수 있을 정도로 오래되었는데, 현재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국가적으로 약자 작업을 시행해 중국은 간체자(簡體字)가 정착을 했고, 일본도 상용한자의 상당수를 약자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 나라는 중국의 간체자 작업 이전의 자전에서 사용되던 약자와 일본에서 전래된 약간의 약자를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우리의 한자교육은 과거에서부터 정자(正字) 위주의 교육을 해오고 있기 때문에 특별히 약자를 강조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하지만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이나, 실용성의 목적으로는 어느 정도 활용할 수 있다고 봅니다.


2. 약자(略字)의 구성 예시

① 정자의 자형(字形)에서 특정 부분만을 뽑거나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하는 경우

  <예시>

   歷(력) ☞ 厂  / 聲(성) ☞   / 獨(독) ☞ 独  / 點(점) ☞

   壓(압) ☞   / 寶(보) ☞   / 號(호) ☞   / 畵(화) ☞


② 실용적으로 쉽게 쓰기 위해 정자의 획을 생략하는 경우

  <예시>

   德(덕) ☞   / 儉(검) ☞   / 黑(흑) ☞   / 價(가) ☞

   惡(악) ☞ 悪  / (계) ☞ 継  / (수) ☞ 数  / (악) ☞ 楽


③ 정자의 한 부분을 간단한 다른 의미를 지닌 자형으로 바꾸는 경우 - 바꾸는 부분은 주로 한자의 음부(音部)가 됨.

  <예시>

   轉(전) ☞   / 鐵(철) ☞   / 拂(불) ☞ 払  / (련) ☞ 恋

   驛(역) ☞   / 藝(예) ☞   / 會(회) ☞   / 亂(란) ☞


④ 정자의 초서체 형태를 해서체 형태로 변형해서 만드는 방법

  <예시>

   爲(위) ☞   / 學(학) ☞   / 兒(아) ☞   / 晝(주) ☞

   (매) ☞ 売  / (천) ☞ 賎  / (수) ☞ 寿  / (여) ☞ 与


⑤ 고자(古字)가 오래도록 사용되어 온 경우

 <예시>

   萬(만) ☞ 万  / (례) ☞ 礼        [ http://www.hanja.pe.kr]


'자료실 >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례와 계례  (0) 2007.12.06
시호(諡號) 에 대하여  (0) 2007.12.06
제사상 진설법  (0) 2007.12.06
시호와 묘호의 구별  (0) 2007.12.06
호(號)와 자(字)의 차이  (0) 2007.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