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 이 백(李 白 1 夫天地者萬物之逆旅光陰者 2 百代之過客而浮生若夢爲歡 3 幾何古人秉燭夜遊良有以也 4 況陽春召我以煙景大塊假我 5 以文章會桃李之芳園序天倫 6 之樂事羣季俊秀皆爲惠連吾 7 人詠歌獨慚康樂幽賞未已高 8 談轉淸開瓊筵以坐花飛羽.. 자료실/자료실 2010.10.06
순화각첩 외 《淳化閣帖》에서《快雪堂法帖》에 이르기까지 송나라 태종 순화 3년(992년)에 내부에서 수장하고 있었던 역대의 묵적들을 한림시서인 왕착(王 着)에게 이를 편찬하고 모륵(慕勒)하게 되었다. 탁본은 징심당지(澄心堂紙)를 사용하고 먹은 이정규 (李廷珪)가 만든 것으로 하여 대신들에게 한부씩 나누어.. 자료실/자료실 2007.12.09
관례와 계례 글쓴이: 조창열 조회수 : 4005.05.19 20:28 http://cafe.daum.net/hanmungojun/C8cg/12 관례와 계례 관례(冠禮) 관례는 원래 소년이 처음으로 어른의 의복을 입고 관(冠)을 써서 성인(成人)이 되는 의식(儀式)으로 아이에게 어른이 되었다는 사실을 인식시켜서 자부(自負)와 책임(責任)을 갖게 하는 갓(冠巾)을 씌우는 의식.. 자료실/자료실 2007.12.06
시호(諡號) 에 대하여 글쓴이: 조창열 조회수 : 1505.05.19 20:26 http://cafe.daum.net/hanmungojun/C8cg/11 시호(諡號) 중국 봉건 시대 帝王后妃·文武百官 및 鴻儒耆宿 혹은 "忠勇義烈" 행위를 한 사람이 죽으면 朝廷 혹은 私家에서 그에게 하나의 특수한 칭호를 주는데 이것이 諡號이다. 시호를 붙이는 것은 서주 초기부터 시작된 일이다. .. 자료실/자료실 2007.12.06
한자의 약자와 속자 퍼온글 글쓴이: 조창열 조회수 : 7105.05.17 13:47 http://cafe.daum.net/hanmungojun/C8cg/10 한자의 약자(略字)나 속자(俗字)에 대한 정의와 예시입니다.. 우리의 한자교육은 과거에서부터 정자(正字) 위주의 교육을 해오고 있기 때문에 특별히 약자를 강조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이나, .. 자료실/자료실 2007.12.06
제사상 진설법 글쓴이: 조창열 조회수 : 7905.05.17 13:54 http://cafe.daum.net/hanmungojun/C8cg/8 제사상 진설법에 대하여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冠婚喪祭(관혼상제)로 대표되는 제례를 중요시했다. 이것은 마음가짐뿐만 아니라 형식도 필요하다. 그 한 예가 상차림으로써, 상황에 따라 음식의 종류와 가짓수, 그리고 상에 놓는 위치.. 자료실/자료실 2007.12.06
시호와 묘호의 구별 퍼온글 글쓴이: 조창열 조회수 : 705.05.13 21:08 http://cafe.daum.net/hanmungojun/C8cg/7 조선시대 왕의 시호, 묘호 구별은 어떻게 할까? 조선시대의 왕은 사후에 자신이 살았던 일생을 평가받는다. 시호(諡號)와 묘호(廟號)가 그것이다. 시호는 살았을 때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올리는 칭호이며, 묘호는 왕의 일생을 .. 자료실/자료실 2007.12.06
호(號)와 자(字)의 차이 퍼온글 글쓴이: 조창열 조회수 : 1705.05.13 21:01 http://cafe.daum.net/hanmungojun/C8cg/2 호(號)와 자(字)의 차이 예기(禮記)에 '남자는 20세에 관례(관례)를 행하고 자(字)를 짓고, 여자는 혼인을 약속하면 계례( 禮)를 행하고 자를 짓는다.'고 하면서 '관례를 행하고 자를 짓는 것은 그 이름을 공경해서이다.'라고 설.. 자료실/자료실 2007.12.06
천자문의 유래 퍼온글 글쓴이: 조창열 조회수 : 705.05.13 21:00 http://cafe.daum.net/hanmungojun/C8cg/1 1.천자문의 유래 가.형식 본래 천자문은 중국 양나라의 무제가 주홍사에게 명하여 짓게 한 글로써,전문을 1000 자로하고 사언일구를 이구일련으로 한 일종의 고체시입니다. 이글의 특색은 같은 글자를 두번 사용 하지 않았다는 .. 자료실/자료실 2007.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