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스크랩] 건강 및 대체요법

예전 이영란 2012. 10. 28. 09:36

경락 및 경혈

1. 經絡學說

한의학의 기본이론인 음양, 오행, 장부, 영위 기혈 이론 등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해부, 생리, 병리, 진단 및 치료 등 각 방면에

 걸쳐 이론과 임상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황제내경 영추 경맥 편에서

 경락은 생사를 결단하고 온갖 병을 처리하며 허와 실을 조절하는 것이므로

 의사는 경락에 정통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언급하였다.


2. 경락의 종류

-. 12경맥 : 오장육부와 심포락의 12장부에 연결된 서로 연계된 경맥으로

             6부에 속해서 사지 외측으로 간 경맥은 6양경이 되고 장에

             속해서 사지 내측으로 간 경맥은 6음경이 되는데 손으로

             향하면 수경, 발로 향하면 족경이 된다.

 -. 기경 8맥 : 정경에 상대되는 용어로 각 경맥별로 연관관계가 없으며

              임맥, 독맥, 대맥, 충맥, 양교맥, 음교맥, 음유맥, 양유맥, 이며

              임, 독맥은 인체의 전후 정중선을 순행하며 소속된 혈을

              가지고 있으므로 12경맥과 합하여 인체 14경맥 이라한다.

 -. 12경근 : 사지의 주관절 아래 체표부분 근육에서 시작하여 순행한다.

 -. 12경별 : 12경맥이 순환하는 이외의 통로로 순환하고 낙맥과는 다르기

            때문에 구별하여 12경근이라 한다.

 -. 15낙맥 : 12경맥에서 갈라져 나와 다른 경과 경 사이에서 주요한

            연락활동을 하며 12경맥과 임. 독맥의 별락 및 비의 대략

            까지 합하여 15별락이 된다.


3. 경락의 기능과 직용


-. 생리면 : 인체의 기혈을 순환시켜 인체의 정상적인 생리기능을 수행한다.

 -. 병리면 : 장부에 생긴 병은 경락의 순행부위에 증상이나 병후가

            나타나는데 이것이 경락의 작용이다.

 -. 진단면 : 주관적, 객관적 증상을 경락순행노선과 대조하면 병변을 알 수

            있고 해당하는 부위에 나타나는 증후로 병의 진단이 가능하다.

 -. 치료면 : 기후의 변화나 기계적 자극 또는 외적자극과 약물자극에

의한 내적반응을 통한 각종병의 변화를 조절하여 경락의 기를 유통시켜 국부에서 원격부위에 이르게 하여 질병을 치유한다.


4. 경맥 유주의 원리


-. 십이경맥 순행원리 : 음과 양의 구부니 있으며 각각의 특성대로 순행

                       하는 특징이 있으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인체의 두부를 양 구간부를 음으로 본다.

    ★ 인체의 수족을 음양으로 나누면 수는 양 족은 음이 된다.

    ★ 인체의 전후를 음양으로 나누면 전면은 음 후면이 양이 된다.

    ★ 인체의 내외를 음양으로 나누면 내측은 음 외측이 양이 된다.


 -. 삼음경과 삼양경의 장부 배속

  구분

  태음경

 양명경

 소음경

 태양경

 궐음경

 소양경

 수경

   폐경

 대장경

  심경

 소장경

 심포경

 삼포경

 족경

   비경

  위경

  신경

 방광경

  간경

  담경




5. 경락의 명명법

   음 양

      음

      음

      양

      양

 오행/장부경락

      장

      경

      부

      경

      金

      폐

   수태음경

     대장

   수양명경

      水

      신

   족소음경

     방광

   족태양경

      木

      간

   족궐음경

      담

   족소양경

      火

      심

   수소음경

     소장

   수태양경

      土

      비

   족태음경

      위

   족양명경

      火

     심포

   수궐음경

     삼초

   수소양경



   

6. 요혈의 분류표        


        정(井)   영(滎)   수(兪)   경(經)    합(合)

폐경    소상    어제    태연     경거    척택

대장경  상양    이간    삼간     양계    곡지

위경    여태    내정    함곡     해계   족삼리

비경    은백    대도    태백     상구   음릉천

심경    소충    소부    신문     영도    소해(少海)

소장경  소택    전곡    후계     양곡    소해(小海)

방광경  지음   족통곡   속골     곤륜    위중

신경    용천    연곡    태계     복류    음곡

심포경  중충    노궁    대릉     간사    곡택

삼초경  관충    액문    중저     지구    지정

담경   족궐음   협계   족임읍    양보   양릉천

간경   대돈     행간    태충     중봉    곡천


배수혈이라는 것은 오장육부의 기운이 등의 특정 혈위에 맺히는

곳입니다. 따라서 이곳을 통한 진찰과 치료가 가능하기도 합니다.

12 경맥의 배수혈

폐경     폐수   

대장경   대장수

위경     위수   

비경     비수   

심경     심수    

소장경   소장수

방광경   방광수

신경     신수   

심포경   궐음수

삼초경   삼초수

담경     담수  

간경     간수  

극혈은 경맥기혈(經脈氣血)이 곡절(曲折)하여 모이는 공극(孔隙)인 것을 지칭하는 말로서, 각 경락의 급성병증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12경맥의 극혈

폐경        공최  

대장경      온유  

위경        양구  

비경        지기  

심경        음극  

소장경      양노  

방광경      금문  

신경        수천  

심포경      극문  

삼초경      회종  

담경        외구   

간경        중도   


모혈은 각종 병변이 배의 한 부분에 나타나는 것으로서 오장육부에 병이 있을 경우에 여기로 병변이 나타납니다.

12경맥 모혈

폐경      중부    

대장경    천추    

위경      중완    

비경      장문     

심경      거궐    

소장경    관원    

방광경    중극     

신경      경문     

심포경    전중     

삼초경    석문     

담경      일월    

간경      기문    

락혈은 오장육부의 음양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다스리는 작용을 합니다. 락혈은 4지부(四肢部)에 있어서 12경맥은 각기 락혈(絡穴)이

있어 표리가 서로 통하고, 양 경락간의 상합(相合)관계를 형성합니다. 주로 표리에 다 병이 들은 곳에 적용하여 치료가 가능합니다.

12경맥 락혈

폐경       열결

대장경     편력

위경       풍륭

비경    공손. 대포

심경       통리

소장경     지정

방광경     비양

신경       대종

심포경     내관

삼초경     외관

담경       광명

간경       여구


침 요법


1. 침 요법의 정의 : 다양한 수기법을 응용하여 금속으로 만든 가는

침을 이용하여 12경락의 모든 경혈 혹은 기혈 및 아시혈에 시술하여 사기를 제거하는 치료법이다.

 2. 침의 종류 : 참침, 원침, 시침, 봉침, 피침, 원리침, 오침, 장침, 대침


부항 요법


1. 부항요법의 정의 : 관을 경혈에 붙여 화기나 음압펌프를 통하여 관속의 공기를 빼냄으로써 피부에 흡착시켜 울혈을 일으켜 담음과 어혈을 제거하여 혈액을 정화하고 자율신경 자극을 통한 자각증상을 소실시키며 색소반응의

                      강약에 따라 장부의 이상을 알아보는 진단법의

                      일종으로써 주로 민간요법으로 전승되어 왔다.

 2. 부항요법의 구분 : 전신요법과 국소요법이 있다.

 3. 조작에 따른 구분 : 섬화법 및 흡입법이 있다.


각론


1.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

순행노선 : 중부 - 운문 - 천부 - 협백 - 척택 - 공최 - 열결 -

            경거 - 태연 - 어제 - 소상  11혈 좌우 22혈

주치증상 : 호흡기계 병증, 해수, 기천, 단기, 해혈, 흉부창만, 쇄골와통

            인후종통, 비통, 수비전연통

 사총혈 : 역대 의사들의 오랜 임상을 통하여 정리된 혈 자리로써 전신에

          분포되어 있는 모든 혈에 비해 치료범위가 광범위 하고 한, 열

          허, 실 및 급, 만성을 막론하고 독특한 작용을 하는 중요한혈로써

          합곡, 열결, 위중, 삼리(족삼리) 4개의 혈을 말한다.

 팔맥교회혈 : 공손, 내관, 후계, 신맥, 족임읍, 외관, 열결, 조회

 팔회혈 : 전중, 격수, 대저, 태연, 양릉천, 절골, 장문, 중완

 십삼귀혈 : 인중, 소상, 은백, 대릉, 풍부, 협거, 승장, 노궁, 상성, 회음

            곡지, 통천


2. 手陽明大腸經(수양명대장경)


순행노선 : 상양 - 이간 - 삼간 - 합곡 - 양계 - 편력 - 온류 -

            하렴 - 상렴 - 수삼리 - 곡지 - 주료 - 수오리 - 비노 -

            견우 - 거골 - 천정 - 부돌 - 화료 - 영향  20혈 좌우 40혈

 주치증상 : 위나 장등의 복부기관의 질병 신경 정신질환, 열성병, 눈, 입,

            치아, 코 인후질환 및 대장경이 경과하는 부위의 병증 특히

            복통, 장명, 설사, 변비, 이질, 인후종통, 치통, 수비통 등을

            치료한다.

 중풍칠처혈 : 백회, 곡빈, 견정, 풍시, 족삼리, 현종, 곡지

 

3.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


순행노선 : 승읍 - 사백 - 거료 - 지창 - 대영 - 협거 - 하관 - 두 유 -

            인영 - 수돌 - 기사 - 결분 - 기호 - 고방 -옥예 - 응창 -

            유증 - 유근 - 불용 - 승만 - 양문 - 관문- 태을 - 활육문 -

            천추 - 외릉 - 대거 - 수도 - 귀래 - 기충- 비관 - 복토 -

            음시 - 양구 - 독비 - 족삼리 - 상거허 - 조구 - 하거허 -

            풍륭 - gorP - 충양 - 합곡 - 내정 - 여태  45혈 좌우 90혈

 주치증상 : 장과 위등의 소화기계 질환, 신경 및 정신과 질환 호흡 및

            순환기계 질환 인후, 두면, 입, 치아, 코의 병증 및 위경이

            경과하는 부위의 병증 특히 위통, 구토, 장명, 복창 등의

            소화기 증상 및 구완와사, 인후종통, 비뉵, 치통, 무릎과

            하퇴부의 동통 등 경맥 순행부위의 동통을 치료한다.

 회양구침혈 : 아문, 노궁, 삼음교, 용천, 태계, 중완, 환도, 족삼리, 합곡

 육부하합열 : 족삼리, 상렴, 하렴, 위중, 위양, 양릉천

 사총열 : 족삼리, 열결, 합곡, 위중

 중풍칠처혈 : 백회, 곡빈, 견정, 풍시, 족삼리, 현종, 곡지

 삼부맥 : 천부(인영맥), 인부(태연맥,촌구맥), 지부(충양맥)

 


4. 足太陰肥經(족태음비경)


순행노선 : 은백 - 대도 - 태백 - 공손 - 상구 - 삼음교 - 누곡 - 지기

            음릉천 - 혈해 - 기문 - 충문 - 부사 - 복결 - 대횡 - 복애 -

            식두 - 천계 - 흉항 - 주영 - 대포  21혈 좌우 42혈


주치증상 : 비나 위등의 소화기질환, 비뇨생식기질환, 및 비경이 경과하는

            부위의 병증 특히 위완통, 복창통, 구토, 애기, 설사, 황갈, 수종

            신체침중무력, 설강, 무릎과 대퇴의 창통 및 사지냉증 등을

            치료한다.

 팔맥교회혈 : 공손, 내관, 후계, 신맥, 족임읍, 외관, 열결, 조회


5. 手少陰心經(수소음심경)


 순행노선 : 극천 - 청령 - 소해 - 영도 - 통리 - 음극 - 신문 - 소부

            소충   9혈 좌우 18혈

 주치증상 : 흉부질환, 순환기질환, 신경 및 정신질환, 심경이 경과하는

            부위의 병증 특히 심통, 심번, 불면, 인건, 구갈, 면황, 협통,

            수비내측통, 수심발열 및 다영한 정신질환을 치료한다.



6.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


순행노선 : 소택 - 전곡 - 후계 - 완골 - 양곡 - 양로 - 지정 - 소해 -

            견정 - 노수 - 천종 - 병풍 - 곡원 - 견외수 - 견중수 -

            천창 - 천용 - 관료 - 청궁   19혈 좌우 38혈

 주치증상 : 소장, 흉부, 심장, 인후의 질환과 발열성질환, 신경질환,

            두부, 경부, 눈, 귀의 질환 및 소장경이 경과하는 부위의

            병증 특히 두통, 이통, 눈충혈, 목황, 구열, 설적열, 협종

            인후종통, 견비, 외측 후연통 및 학질 및 열성병을 치료한다.

            

7.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


 순행노선 : 정명 - 찬죽 - 미충 - 곡차 - 오처 - 승광 - 통천 - 낙각 -

옥침 - 천주 - 대저 - 풍문 - 폐수 - 궐음수 - 심수 - 독수 - 격수 - 간수 - 담수 - 비수 - 위수 - 삼초수 - 신수 - 기해수 대장수 - 관원수 - 소장수 - 방광수 - 중려수 - 백환수 - 상료

            차료 - 중료 - 하료 - 회양 - 승부 - 은문 - 부극 - 위양 -

            위중 - 부분 - 백호 - 고황 - 신당 - 의회 - 격관 - 혼문 -

            양강 - 의사 - 위창 - 황문 - 지실 - 포황 - 질변 - 함양 -

            승근 - 승산 - 비양 - 부양 - 곤륜 - 복삼 - 신맥 - 금문 -

            경골 - 속골 - 통곡 - 지음  67혈 좌우 134혈

주치증상 : 비뇨생식기계질환, 신경,정신과질환, 호흡, 순환, 소화기계질환 및

            열성질환 및 방광경이 경과하는 부위의 병증 특히 배부의

            오장육부의 수혈은 소속장기의 질병을 치료하고 소변불통, 유뇨,

            전광, 이질, 안통, 누풍증, 비색, 비뉵, 두항부, 요배부, 둔부,

            하지후면부의 통풍을 치료한다.


8. 足少陰腎經(족소음신경)


순행노선 : 용천 - 연곡 - 태계 - 대종 - 수천 - 조해 - 부류 - 교신 -

            축빈 - 음곡 - 횡골 - 대혁 - 기혈 - 사만 - 중주 - 황수 -

            상곡 - 석관 - 음도 - 복통곡 - 유문 - 보랑 - 신봉 - 영허 -

            신장 - 욱중 - 수부  27혈 좌우 54혈

 주치증상 : 비뇨생식기계질환, 신경, 정신과질환, 호흡, 소화, 순환기계질환               및 신경이 경과하는 부위의 병증 특히 이명, 요통, 월경부조,

            수종, 해혈, 기천, 설건, 인통, 다리내측통, 족심발열증상을

            치료한다.



9. 手厥陰心包經(수궐음심포경)


순행노선 : 천지 - 천천 - 곡택 - 극문 - 간사 - 내관 - 대릉 -

            노궁 - 중층  9혈 좌우 18혈

주치증상 : 흉부, 심부의 순환기질환, 신경, 정신질환 및 심포경이 경과하는              부위의 병증 특히 심통, 심계, 흉민심번, 전광, 주비통, 장심발열

            등의 병증을 치료한다.



10.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


순행노선 : 관충 - 액문 - 중저 - 양지 - 외관 - 지구 - 회종 - 삼양락 -

            사독 - 천정 - 청냉연 - 소락 - 노희 - 견료 - 천료 - 천유

            예풍 - 계맥 - 노식 - 각손 - 이문 - 화료 - 사죽공

            23혈 좌우 46혈

주치증상 : 흉, 심, 폐, 인후질환, 열성질환, 측두부의 눈, 귀질환 및

            삼초경이 경과하는 부위의 병증 특히 이롤, 이명, 인후종통,

            협종, 목적, 견비외측의 경맥순행부위의 통증을 치료한다.



11. 足少陽膽經(족소양담경)


순행노선 : 동자료 - 청회 - 상관 - 함염 - 현로 - 현리 - 곡빈 - 솔곡 -

            천충 - 부백 - 두규음 - 완골 - 본신 - 양백 - 두임읍 - 목창

            정영 - 승령 - 뇌공 - 풍지 - 견정 - 연액 - 첨근 - 일월 -

            경문 - 대맥 - 오추 - 유도 - 거료 - 환도 - 풍시 - 중독 -

            슬양관 - 양릉천 - 양교 - 의구 - 광명 - 양보 - 현종 - 구허 

            족임읍 - 지오희 - 협계 - 족규음  44혈 좌우 88혈

주치증상 : 흉협, 간담질환, 열성질환, 신경계질환, 측두부와 눈, 귀

            인후질환과 담경이 경과하는 부위의 병증 특히 구고구토, 현훈,

            선노, 편두통, 안통, 함통, 흉엽, 고, 하지외측통을 치료한다.



12.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


 순행노선 : 대돈 - 행간 - 태충 - 중봉 - 여구 - 중도 - 슬관 - 곡천 -

            음포 - 족오리 - 음렴 - 급맥 - 장문 - 기문  14혈 좌우 28혈

주치증상 : 비뇨, 생식기, 신경계질환, 간담질환, 안통 및 간경이 통과하는 부위의 병증 특히 안통, 요통, 흉만, 구역, 유뇨, 산기, 소변불통, 하복부통을 치료한다.


13. 督脈(독맥)


순행노선 : 장강 - 요수 - 요양관 - 명문 - 현추 - 척중 - 중추 - 근축 -

            지양 - 영대 - 신도 - 신주 - 도도 - 대추 - 아문 - 풍부 -

            뇌호 - 강간 - 후정 - 백회 - 전정 - 신회 -상성 - 신정 -

            소료 - 수구 - 태단 - 은교   28혈 정중단혈

주치증상 : 신경계, 호흡기, 비뇨생식기, 근골격계질환, 열성질환과 독맥이               경과하는 부위인 두면, 경항, 척배, 요저부의 병증 특히

            척강동통, 각궁반장, 신지병, 탈황, 자궁하수, 소변불리,

            산기, 두경, 요추동통을 치료한다.


14. 任脈(임맥)


순행노선 : 회음 - 곡골 - 중극 - 관원 - 석문 - 기해 - 음교 - 신궐 -

            수분 - 하완 - 건리 - 중완 - 상완 - 거궐 - 구미 - 중정 -

            전중 - 옥당 - 자궁 - 화개 - 선기 - 천돌 - 염천 - 승장

            24혈 정중단혈

 주치증상 : 임맥은 신경계, 호흡기, 소화기, 비뇨생식기질환, 한성질횐 및

            임맥이 통과하는 안면부, 인후부, 흉부, 복부, 회음부위의 병증

            특히 산기, 대하, 복중결괴, 비뇨생식기계, 호흡기계, 위장과

            인후질환을 치료한다.

참고서적 : 현문사 경혈학기초

출처 : 원림물산한방연구소
글쓴이 : 사군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