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의 유래 퍼온글 글쓴이: 조창열 조회수 : 705.05.13 21:00 http://cafe.daum.net/hanmungojun/C8cg/1 1.천자문의 유래 가.형식 본래 천자문은 중국 양나라의 무제가 주홍사에게 명하여 짓게 한 글로써,전문을 1000 자로하고 사언일구를 이구일련으로 한 일종의 고체시입니다. 이글의 특색은 같은 글자를 두번 사용 하지 않았다는 .. 자료실/자료실 2007.12.06
노자 도덕경 원문과 해석 1. 道可道非常道(도가도비상도) : <도>라고 말 할 수 있는 <도>는 <도>가 아니다 名可名非常名(명가명비상명) : 이름 지을 수 있는 이름은 영원한 이름이 아니다 無名天地之始(무명천지지시) : 이름 붙일 수 없는 것이 천지의 원천이며 有名萬物之母(유명만물지모) : 이름 붙일 수 있는 것이 .. 한문학/노자 2007.11.21
안축의 관동별곡 1. 서론 관동별곡은 고려후기의 전형적 신흥사대부인 안축이 충숙왕 17년(1330)에 강원도 존무사로 부임했다가 돌아오는 길에 관동의 절승을 경기체가 형식으로 노래한 시가이다. 창작시기에 관해 李樹鳳(1996)은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다. 안축이 강원도 존무사로 재임했던 기간이 1328년 5월에서부터 1329.. 고전문학/가사 2007.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