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기

대설

예전 이영란 2009. 1. 5. 16:33

대설은 24절기의 21번째로, 소설과 동지 사이에 든다.

태양황경은 255도에 이른 때이다.

양력 12월 8일경이다

 

이규보

십일월 삼일 많이 내린 눈을 보고

 

節已侵大雪   / 절후가 벌써 대설이 되었으니

此雪未云劇   / 이번에 내린 눈 급한 것 아니로다

初雪已如此   / 첫눈이 이미 이처럼 많으니

何憂不三白   / 세차례 큰눈은 걱정없네 (풍년을 점치는 말로, 납전(臘前)에 세 차례의 눈이 오면 이듬해 풍년이 든다 한다.)

夜深睡正甘   / 밤이 깊어지고 잠도 깊이 들어

不見飛花色   / 눈송이 나는 것도 보지 못하고

洒窓猶未聞   / 창에 뿌리는 소리도 못 들었는데

開戶方驚積   / 창문을 열어보니 놀랍게 쌓였구려

遙知紫宸朝   / 멀리서 생각노니 대궐 아침엔
舞賀朱袂赩   / 축하하는 그 춤에 옷자락 빛나리

如予老退者   / 나와 같이 노퇴한 사람이야

宜以才自拍   / 혼자서 박수나 치리라  

 

계곡(谿谷) 장유(張維) 

대설 

 

朔風驅雪滿天來   북풍에 몰려 휘날리는 눈보라 하늘 가득

一夜茅簷壓欲摧   / 초가 지붕 하루 밤새 짓눌려 무너질 듯

枯樹乍聞寒響急   / 찬바람 윙윙 고목나무 울어대고

小窓全覺曙光催   / 창가엔 어느덧 부연 새벽 기운

村童晚汲通新徑   / 새로 난 길 느지막이 물 길어오는 시골 아이

竈婦晨炊撥舊灰   / 아궁이 재 걷어 내고 아낙네 아침 짓네

遍壠靑苗埋不凍   / 보리 싹 깊이 묻혀 얼어 죽지 않을테니

豐年賸待麥秋迴   / 맥추 돌아올 때 풍년은 따놓은 당상일세

 

계곡(谿谷) 장유(張維) 

대설 

海天漠漠海雲垂   / 어디가 하늘이고 어디가 바다인지 구름도 낮게 드리우고

雪勢風威倂一時   / 눈보라에 바람까지 일시에 위세 부리누나

凍逼蟄龍號大壑   / 골짜기에 숨은 용들 얼어 죽는다 소리치고

寒侵栖雀墮空林   / 추위에 떠는 참새들 빈 숲에 툭툭 떨어지네

望中不辨斜斜逕   / 비탈진 오솔길 어디가 어디인지

堆處平埋短短籬   / 키 작은 울타리들 가지런히 묻혀 있네
閑擁地爐燒榾柮   / 관솔불 태우면서 화로만 껴안을 뿐

病來孤負灞橋詩   / 병든 몸 나 홀로 패교시를 못 읊누나 


대설에 비가 몹시 오기에 장생의 운에 차하여 짓다[대설日大雨 次張生韻]

 

눈 와야 할 대설에 자욱하게 내리는 비 / 大雨冥冥대설時
얼음덩어리 녹아 흘러 앞 연못이 찰랑찰랑 / 堅冰銷盡漲前池
푸른 하늘 밝은 태양 볼 길이 막막한 채 / 靑天白日何由覩
검은 안개 음산한 구름 땅에 내려 깔리누나 / 黑霧陰雲接地垂

 

 

십일월 삼일 많이 내린 눈을 보고

 

節已侵大雪   / 절후가 벌써 대설이 되었으니

此雪未云劇   / 이번에 내린 눈 급한 것 아니로다

初雪已如此   / 첫눈이 이미 이처럼 많으니

何憂不三白   / 세차례 큰눈은 걱정없네 (풍년을 점치는 말로, 납전(臘前)에 세 차례의 눈이 오면 이듬해 풍년이 든다 한다.)

夜深睡正甘   / 밤이 깊어지고 잠도 깊이 들어

不見飛花色   / 눈송이 나는 것도 보지 못하고

洒窓猶未聞   / 창에 뿌리는 소리도 못 들었는데

開戶方驚積   / 창문을 열어보니 놀랍게 쌓였구려

遙知紫宸朝   / 멀리서 생각노니 대궐 아침엔
舞賀朱袂赩   / 축하하는 그 춤에 옷자락 빛나리

如予老退者   / 나와 같이 노퇴한 사람이야

宜以才自拍   / 혼자서 박수나 치리라  

 

상촌

대설

만리를 뻗은 구름 울퉁불퉁 험상궂고 / 長雲萬里正崔嵬
겨울 기운 천 겹으로 산골짝에 밀어닥치네 / 絶峽千重朔氣催
어젯밤 소양강에 눈이 많이 내렸던지 / 昨夜昭陽江上雪
아침에 봉황대가 보이지 않네 그려 / 朝來不見鳳凰臺

큰 눈

오두막이 높이높이 반공에 걸려 있어 / 小屋迢迢掛半空
내려다보면 평야가 끝도 없이 질펀한데 / 俯臨平野勢無窮
센 바람이 일천 비탈의 눈을 모두 몰아다가 / 長風吹捲千厓雪
산천들을 똑같은 모양으로 바꿔놓았네 / 變盡山川一氣中

대설)

골짝 메우고 산을 묻고 눈 닿는 덴 다 똑같아 / 塡壑埋山極目同
온 세계는 구슬이요 집들은 수정일레 / 瓊瑤世界水晶宮
인간에 화사가 수도 없이 있지마는 / 人間畵史知無數
음양의 조화만은 그리기가 어렵다네 / 難寫陰陽變化功

점필재

 

겨울 천둥에 대하여 삼 장을 읊었으니 장마다 십 구씩이다[冬雷三章章十句]

 

때는 십일월이라 / 十有一月
대설의 절후인데도 / 대설之候
눈은 한 점도 내리지 않고 / 雪無一點
비만 주룩주룩 내리네 / 雨雨如漱
비가 내린 건 그래도 괜찮으나 / 雨雨尙可
천둥 귀신이 분주히 나돌아 / 靊霳奔走
요란스럽게 쾅쾅 쳐 대어 / 殷殷馮馮
마치 욕하는 소리 같은데 / 有同僝僽
바람까지 남쪽에서 불어와 / 風自南來
성세가 서로 혼잡되누나 / 聲勢相糅

광대한 천지 사방에 / 日將南至
때는 동지가 곧 되어 가는데 / 大包芒碭
양기가 오는 칠일에도 / 明來七日
반복은 오히려 더디겠구나 / 其復尙曠
우레가 땅속에 숨었다가 / 雷潛地中
갑자기 하늘로 올라가서 / 忽在天上
양기를 마구 배설하니 / 陽氣其洩
온갖 숨은 벌레가 다 우러르네 / 百蟄咸仰
비록 벼락은 치지 않지만 / 雖非霹靂
또한 대단히 분방하도다 / 亦大奮放

중동이 이미 되었는데 / 仲冬旣殷
천둥치고 비가 내리네 / 有雷有雨
어찌하여 농사철에는 / 云何農月
일찍이 한번도 못 만났던고 / 曾不一迕
해가 끝내 큰 흉년이 들어도 / 歲卒大歉
하늘은 돌봐 주려 하지 않누나 / 天莫肯顧
우리 임금님께 권면하노니 / 勉勉我王
한사코 공경하고 두려워하소서 / 側身祗懼
기후가 어긋나는 데 대하여 / 候之盭矣
누가 그 까닭을 알리오 / 孰詳其故

홍재전서(弘齋全書

대설()

성인의 덕화가 천지에 참예하여 / 玄化參天地
뭇 생령들을 하나로 크게 포용하니 / 羣生一大包
음양은 절후에 따라서 변천하고 / 陰陽隨節變
풍우는 때에 따라 교대하네 / 風雨以時交
먼 데 물은 한기가 뼈에 사무치고 / 遠水寒生骨
깊은 궁전엔 저녁에   아교가 꺽이도다 / 深宮暮折膠
겨울 귀신은 처음 속도를 늦추었는데 / 玄冥初按節
바람 귀신이 다시 깃발을 이어받아 / 風伯更承旓
돌에 부딪쳐서는 염호  를 장식하고 / 拂石糚鹽虎
공중에 날리면 옥룡이 싸우는 듯 / 飄空鬭玉蛟
백삼은 납서의 징조가 되고 / 白三徵臘瑞
등육은 음효를 상징하였도다 / 滕六象陰爻
천문의 길은 구슬을 꿰어 놓은 듯 / 連璐千門逕
상원 나뭇가지는 옥을 조각해 놓은 듯 / 裁瓊上苑梢
촉조로써 성덕을 흠모하겠거니와 / 燭調欽聖德
척후의 깊은 눈은 하늘의 시킴일세 / 尺厚認天敎
희고 깨끗한 빛은 쌍궐에 모이었고 / 皎潔凝雙闕
풍년은 사방의 들녘에서 점치도다 / 豐穰占四郊
아름다운 상서가 팔방에 두루 미치니 / 休祥遍八域
온 나라 동포들 손뼉 치며 즐거워하네 / 歡忭幷同胞


아교;늦가을부터 초겨울까지의 절기에는 아교가 굳어서 꺾어진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염효;호랑이 모양을 본떠서 굳혀 만든 소금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눈[雪]이 쌓여서 호형염(虎刑鹽)의 모양처럼 된 것을 비유한다.
백삼; 납일(臘日) 이전에 세 차례 눈이 내린 것을 삼백(三白)이라 하는데, 그것이 곧 풍년이 들 징조라고 하므로 이른 말이다.
등륙; 등륙은 눈[雪]의 별칭인데, 육(六)은 음수(陰數)이므로 이른 말이다.
촉조; 옥촉 조화(玉燭調和)의 준말로 천지사시(天地四時)의 기후가 잘 조화됨을 이른 말인데, 태평성대를 의미한다.


'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한(小寒)  (0) 2009.01.05
동지  (0) 2009.01.05
입동(立冬)  (0) 2008.11.26
소설(小雪)  (0) 2008.11.06
상강  (0) 2008.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