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로 백로(白露)는 24절기의 15번째로 태양 황경이 165도가 될 때이다. 양력으로는 9월 7일내지 9월...가을 기운이 완연하고 농작물에 이슬이 맺힌다 하여 백로라 한다. 백로는 이슬을 아릅답게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하얀 이슬 산들바람 가을을 보내주자 발 밖의 물과 하늘 청망한 가을일레 앞산에 잎새 지고.. 절기 2008.09.07
입추 입추(立秋)는 24절기의 13번째로 태양 황경이 135도가 될 때이다. 양력으로는 8월 7일내지 8월 8일에 든다 가을이 시작하는 날인 입추라 해도 더위는 여전하여 '잔서(늦더위)'가 계속된다. 이시기는 뜻밖의 복병인 사리가 있는데, 사리는 한 달에 음력 2-4일과 17-19일 두 차례 생긴다. 사리 가운데 우리나라.. 절기 2008.08.07
대서 소서와 입추사이의 절기로서, 태양의 황경(黃누를 황 ㉠누렇다 ㉡노래지다 ㉢누런 빛 " style="FONT-SIZE: 13px">黃經지날 경/글 경 ㉠지나다 ㉡목매다 ㉢다스리다 " style="FONT-SIZE: 13px">經)이 120도에 이른 때이다. 큰 더위'인 대서는 겨울인 대한으로부터 꼭 6개월이 되는 날인 7월 24일경이다. 일년중 가장 더운 .. 절기 2008.07.24
소서 소서(小暑)는 24절기 중 하나로 태양황경이 105도가 되는 때로 차츰 더워진다. 양력으로는 7월 7일경이고, 음력은 6월 7일경이다.한국은 장마전선이 걸쳐 있어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온다. 耘谷 원천석 予二月下旬得疾。三月晦。移接無盡廢寺。經夏二朔。五月二十四日。乃六月節也。將欲遷居。偶書.. 절기 2008.06.30
별과 시각 하지(夏至)의 일입(日入)시는 술시(戌時) 초 1각(刻) 3분이고 즉 술초 1각 3분이 곧 별[宿]의 도분(度分)이 되며 출지(出地) 시각(時刻)은 반(盤)을 거꾸로 하여 서로 이것을 구하면 된다. 1 입춘(立春) : 헌원대성(軒轅大星) 서쪽으로 4도 기울어짐. 2 우수(雨水) : 헌원(軒轅) 16성(星) 남쪽으로 1도 동쪽으로 3.. 절기 2008.06.30
하지(夏至) 하지(夏至)는 24절기중 하나이며 태양 황경이 90도가 되는 때이다. 양력으로는 6월 21일경이다. 북반구에서 하지는 일년중 낮이 가장 길다. 정약용 하지(夏至) 月於三十日 / 달은 삼십일 동안에 得圓纔一日 / 겨우 하루만 둥그렇고 日於一歲中 / 해는 일년 동안에 長至亦纔一 / 제일 긴 날이 .. 절기 2008.06.22
망종 24절기의 아홉 번째로. 음력 4, 5월, 양력 6월 6, 7일 경이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75도에 달한 때이다. 망종은 보리를 먹게 되고 볏모를 심는 시기다. 망종은 말 그대로 까라기 종자라는 뜻이니 까끄라기가 있는 보리를 수확하게 됨을 의미한다. 망종이 일찍 들고 늦게 들음에 따라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 절기 2008.06.03
小滿 소만(小滿)은 24절기 중 하나로, 4월의 중기이다. 태양 황경이 60도가 되는 때이다. 양력으로는 5월 21일경이다. 농가월령가 4월령에, 사월이라 초여름이니 입하 소만의 절기로다 비 온 끝에 볕이나니 날씨도 청화하다 떡갈잎 피어날 때에 뻐꾹새 자주 울고 보리 이삭 패어 나니 꾀꼬리가 노래한다. 농사.. 절기 2008.05.22
입하 입하는 24절기 일곱 번째로 여름의 문턱에 들어선다는 뜻이다 음력으로는 4월절(四月節), 양력 5월 5~6일경으로,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든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45도 때. '여름에 든다.'는 뜻으로 초여름의 날씨를 보인다. 여름은 立夏(입하)에서부터 시작하여 立秋(입추)전까지이다. 옛사람들.. 절기 2008.05.04
곡우 곡우(穀雨)는 24절기의 하나로 3월의 중기이다. 태양 황경이 30도가 되는 때이다 양력으로는 4월 20일경에 해당된다 곡식에 필요한 비가 내린다는 곡우는 과거에는 농사에 가장 중요한 절기중의 하나였다. 곡우때는 나무가 한창 물 오르는 시기이다. 그래서 고로 쇠나무를 비롯한 나무의 수맥을 받아 먹.. 절기 2008.04.20